728x90
변수를 이용한 데이터의 저장
3+4로 c언어에 입력을 하게 되면 실행결과값이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다. 그 이유는 결과 값을 출력하기 위한 코드를 삽입하지 않았기 때문이고, 이러한 연산 결과 또는 값의 저장을 위해서 변수라는 것을 필요로 한다.
●변수란?
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에 붙여진 이름을 의미한다.
●변수의 이름
변수의 이름을 통해서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접근이 가능하며 값을 저장할수도 저장된 값을 참조할수도 있다.
int num
- int 정수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공간의 할당
- num 할당된 메모리 공간의 이름은 num
num=20;
- 변수 num에 접근항 20을 저장
printf("%d",num);
- num에 저장된 값을 참조 (출력)
변수의 이름 규칙
- 변수의 이름은 알파벳 숫자 언더바로 구성
- C언어는 대소문자 구분
- 변수이름은 숫자 사용 불가 키워드도 변수 이름 사용 불가
- 이름 사이 공백 삽입 불가
C언어의 다양한 연산자
- +,-,*,% 합,차,곱,나누기 4가지 연산자가 존재한다
- ++num 값을 1증가 (선 증가, 후 연산)
- num++ 값을 1증가 (선 연산, 후 증가)
- --num 값을 1감소 (선 감소, 후 연산)
- num-- 값을 1감소 (선 연산, 후 감소)
scanf 함수의 호출
- printf 함수에서의 %d는 10진수 정수의 출력을 의미한다.
- 반면 scanf 함수에서의 %d는 10진수 정수의 입력을 의미한다.
scanf("%d",&num) %d 10진수 정수형태로 입력 받아서 &num 변수 num에 저장해라
#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를 최상단에 입력하면 이러한 오류를 없앨수 있다.